2021. 10. 9. 21:36ㆍ★★★★경제&기업 ISSUE/경제ISSUE
전문가, 달러강세 장기화 전망
달러당 원화값이 6일 1190원대로 떨어지며 연저점을 경신한 것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뛰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외환시장 변동성이 지속될 수 있으며 달러당 원화값이 1200원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6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장 초반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오후에 하락으로 전환하면서 1192원 선까지 떨어졌다. 달러당 원화값이 1190원대로 마감한 것은 작년 8월(종가 1194.1원) 이후 약 1년2개월 만이다.
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82.47달러까지 올라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유 가격은 올해 들어 50% 이상 넘게 뛰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서두르고 나아가 기준금리 인상까지 고려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고 안전 자산인 달러 강세가 이어졌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연구원은 "세계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경제 불황 속 물가 상승) 우려가 나오면서 채권 금리 상승에도 영향을 줬다"며 "외국인 입장에서는 원화 채권이나 원화 주식을 부정적으로 볼 수밖에 없어서 원화를 많이 매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달러당 원화값 하락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그간 시장 참여자들이 인플레이션을 단기적 요인으로 바라봤는데 최근 원유 등 원자재 가격 랠리로 이런 요인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며 "이런 요인이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우려로 연결되면서 외환시장에서 안전 자산인 달러를 사려는 수요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백 연구원은 "시장을 둘러싼 여러 요인을 감안했을 때 아직 추가 하락 여지가 있다"며 "이달 중 달러당 원화값이 1200원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문 연구원 역시 "달러당 원화값 하락 압력은 계속될 것"이라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진정되지 않으면 위험 자산 회피 심리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달러당 1200원이라는 숫자가 부담스럽긴 하지만, 종가 기준으로 이제 고작 10원도 안 남았다"며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속 고점을 고려하면 세계 시장이 좀 불안해질 경우 달러당 원화값은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김혜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신문 21.10.07 A14면
상기 콘텐츠는 매일경제신문에서 개인적으로 발췌·수집한 것입니다. 무단 복제/배포를 금지 합니다.
'★★★★경제&기업 ISSUE > 경제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빚투 영끌족 날벼락…한은 "11월 금리 추가 인상 고려"-매경211013 (0) | 2021.10.15 |
---|---|
"경기 하방위험"…KDI, 반년만에 경고-매경211008 (0) | 2021.10.10 |
30년 폐광까지 재가동할 판…삼성 하이닉스 K반도체 공급망 흔들-매경211006 (0) | 2021.10.09 |
중국 이어 인도까지 난리났다…석탄대란에 전력부족, 공급망 휘청이나-매경211005 (0) | 2021.10.06 |
"아파트 값 오른게 내 잘못인가요?"…정부 압박에 대출 반토막, 금리 급등-매경211004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