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관련 용어 정리 I
2021. 7. 26. 11:49ㆍ★★★함께 알아봅시다 - 경제 용어/주식관련용어
경제 신문, TV 뉴스 등을 보고 듣다 보면 아는 것 같은데 누군가에게 설명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등장한다.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것인데, 대부분 '아~ 그거 대강 뭔 말인지는 알겠어~'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면 안 된다.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알아야 면장을 한다. 모르는 게 약이 되기는 힘든 세상이니 용어들, 그중에서도 간단한 것만이라도 틈틈이 알아두자.
이 정도는 알아두자~!
- 기저 효과 (Base Effect) : 시점 간의 비교를 하는 경우 지난 실적이 급감한 상태 또는 실적이 매우 좋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비교 우위적으로) 올해 실적이 커 보이는 현상.
- 컨벤션 효과 (Convention Effect) : 정치 이벤트 직후 지지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말함. 전당 대회나 경선 행사 등의 정치 이벤트에서 승리한 대선 후보나 정당의 지지율이 상승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됨. 참고로 정치 분야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분야에서 두루 사용됨. 아주 쉽게 설명하면..... 새로 가게를 오픈했을 때 흔히 말하는 '오픈 발'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함.
- 어닝 서프라이즈 (Earning Surprise) : 기업이 어닝 시즌(기업들의 실적이 주로 발표되는 시기)에 시장의 예측이나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실적을 내는 것을 말함. 간단히.... 뚜껑 열어보니 깜짝 놀랄 실적을 낸 것을 말함. Surprise~~~~!↔(반) 어닝 쇼크(Earning Shock) : 뚜껑 열어보니.... 기대 이하의 헉 소리 나는 실적을 낸 것.
- 턴 어라운드 (Turn Around) : 넓은 의미로 기업의 회생을 의미함. 어떤 기업의 경영혁신이나 조직개편 등을 하여 쇄신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실적의 개선, 흑자 전환 등을 이루어 낸 것을 말함. 주식에서의 턴 어라운드는 어떤 종목이 대내외적 환경의 개선, 갖은 노력을 통하여 수익성이 급격히 상승, 개선되는 종목을 말함. 보통 이러한 종목은 경기 회복 초기, 주가 급등과 같은 높은 수익을 투자자에게 안겨 준다고 함(아직 경험 못해 봤음....ㅜㅜ).
- 데카콘 (Deca-corn) : 콘(corn)이 들어가니 옥수수인가? 설마 정말 이런 생각을 한 사람이 없길 바란다.... 미국의 블룸버그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기업 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인 신생 벤처기업'을 지칭하는 용어. 종종 듣던 유니콘은?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신생 벤처기업' 그리고~기업 가치가 '1000억 달러 이상인 신생 벤처기업'을 100을 의미하는 hecto + corn으로 헥토콘(hectocorn)이라고 함.
- 금융안정기후위원회(FSCC)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에서 금융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출범시킨다고 발표한 위원회. 연준이 할 일이 아니라는 말도 많지만 최근 세상 돌아가는 일 중에 환경과 기후의 변화는 매우 중대한 요인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2008년 리먼 사태급 이상의 파괴력을 가진 중대한 금융시스템 위협 요소로 기후변화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FSCC 출범 관련 요약 내용 아래 이미지 참고
file.mk.co.kr/meet/neds/2021/03/image_readmed_2021_281516_16165860034585811.jpg
*** 기회가 되는대로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 등 경제와 관련된 단체, 기구들 정리하여 올리겠습니다~
'★★★함께 알아봅시다 - 경제 용어 > 주식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조성 (0) | 2021.09.13 |
---|---|
경기순환주 (0) | 2021.08.21 |
주식 관련 용어 정리 I (0) | 2021.07.26 |